Art in Science
#Prelude
전시명 | Art in Science #prelude |
---|---|
장소 | UECO 울산전시컨벤션센터 |
기간 | 2021. 12. 10(금) ~ 12. 12(일) / 3일간 (‘2021울산국제아트페어’기간) |
관람시간 | 11:00~19:00 (12. 12(일) 17:00 까지) |
전시구성 | 멘토링컨퍼런스, NFT 온라인 및 오프라인 전시, 아트인사이언스 체험전 |
Conversations
Art in Science #Prelude는 연구, 저서, 작품, 강연 등 과학과 예술을 바탕으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연사들이 다양한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습니다.
‘과학의 대중화’를 모토로 삼아, 과학과 예술에 관한 깊이 있는 인사이트를 더 가까이에서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하였습니다.
12/10 (금)
Session 1
13:30 - 14:30김민석 박사
몸으로 듣는 음악현 홍익대 산업미술대학원 초빙교수, <미술관에 간 화학자> 저자
Session 2
14:00 - 15:00서민아 교수
과학자가 바라보는 미술의 세계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책임연구원 및 고려대학교 교수, <미술관에 간 물리학자> 저자
Session 3
16:30 - 17:30이기진 교수
물리학자의 삶과 예술가의 삶의 경계서강대학교 물리학과 교수,<우주 말고 파리로 간 물리학자> 외 다수 출간
12/11 (토)
Session 4
11:30 - 12:30이병주 교수
뉴미디어 아트를 위한 공학적 사고연세대학교 컴퓨터과학과 교수, ACM CHI 부위원장(2019-2022)
Session 5
13:30 - 14:30전창림 교수
Science in Art현 홍익대 산업미술대학원 초빙교수, <미술관에 간 화학자> 저자
Session 6
14:30 - 15:00유임주 교수
발생학과 클림트 <키스>고려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교수, 대한해부학회 이사장
Session 7
15:30 - 16:30김선지 작가
그림속에 숨은 천문학<그림 속 천문학> 저자, 한국일보 '김선지의 뜻밖의 미술사' 칼럼 연재
12/12 (일)
Session 8
13:30 - 14:30이주행 박사
코드로 그린 그림(Code Painting)AI 스타트업<페블러스>대표, UST 교수, 작가
Session 9
14:30 - 15:30박광혁 교수
미술관에 간 의학자(명화로 읽는 의학 이야기)내과전문의, <60일간의 교양미술> 저외 다수 출간
작품 소개
심사위원 | 의/공/과/미학 분야 전문 선정 심사위원 총 19명 |
---|---|
심사기준 | 예술적 측면 : 예술적인 측면 작품의 창의성 및 미학적 점수 과학적 측면 : 과학자, 연구자 측면 연구결과의 점수 대중적 측면 : 실험, 연구 결과 및 작품의 창작의도에 대중들이 얼마나 잘 이해할 수 있으며, 공감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점수 심사 정보 |
지호준(KAIST 산업디자인학과/겸직교수)
대전문화재단이 주최하는 아티언스 레지던시 프로그램을 한국기계연구원에서 진행하면서 촬영한 영상을 이용해 제작. 실험내용은 공기의 흐름을 시각화 시키는 것이며 촬영은 DSLR을 이용해 진행하였음.
우종규, 양진주((재)국가마우스표현형분석사업단/박사,연구원)
Mouse 유래 Primary hepatocyte와 stellate cell을 이용하여 제작한 spheroid. Spheroid는 formalin 고정 후 paraffin 섹션 제작하여 H&E 염색. 촬영은 slide scanner 이용하여 촬영
고우진(UNIST 도시환경공학부/대학원생)
분자 동역학 (Molecular dynamics) 시뮬레이션과 비쥬얼라이져 (visualizer)를 이용하여 관찰한 메탄 하이드레이트의 성장 모습과 거동.
Elizabeth Maria Clarissa(UNIST 학부생)
전자현미경 (TEM)으로 리포좀 (Liposomes) 샘플을 본 이미지. 원래 동그란 구조 가지고 있는 리포좀은 마르는 과정에 터져서 불규칙적 구조로 바뀜.
이수진(차의과학대학교 박근홍교수님 연구실/연구원)
생쥐 난자를 정자와 체외수정 시킨 뒤, 5일 경과한 후 배반포(blastocyst) 단계의 세포가 투명대(zona pellucida) 막으로부터 빠져나와 hatching하고 있는 모습을 핵(DAPI)과 세포막(phalloidin) 염색 후 공초점 형광 현미경을 이용해 촬영한 이미지.
강은지(서울대학교 암연구소/연구원)
유방암 줄기세포 Spheroid 형성 실험 중, 극한 상황에서도 살아남는 Spheroid가 관찰 되어 inverted microscope (Eclipse, Nikon, Tokyo, Japan)로 촬영.
최하영(서울대학교/대학원생)
알츠하이머병 뇌 내에서 발견되는 병리 단백질인 베타아밀로이드가 많이 축적 되는 유전자 변형 쥐의 뇌 조직을 면역형광염색하여, 공초점 현미경으로 베타아밀로이드 및 뇌 내 면역세포인 미세아교세포를 촬영한 이미지.
Prometheus(박병호, 방석영, 황경섭) KIST 센서시스템연구센터 Post-doc., 뇌과학기획단 Post-doc., 뇌과학기획단 연수생 통합 과정
수많은 신경세포로 구성된 원형 집합체 스페로이드(spheroid)의 성장을 연구하며 축색돌기(axon, nerve fiber)가 뻗어나가는 과정을 형광현미경을 통해 관찰함.
박준현
Sodium ion channel인 Enac-alpha의 Whole brain mapping을 위해 LSM700 모델로 촬영
강준호(한국과학기술원/박사)
유방암 환자의 암조직과 미세유체학(microfluidics)을 이용하여 체외에서 순환종양세포클러스터(cluster)를 형성하고 confocal microscope (LSM980)으로 촬영한 이미지. 암세포의 세포막은 초록색형광으로, 호중구의 세포막은 빨간색 형광으로 염색. 비록 환자의 몸에서 나온 암세포이지만 3개의 세포로 구성된 클러스터에서 사랑과 행복의 상징인 미키마우스와 미니마우스의 형상을 발견하였고 이를 보면서 암환자에게 회복의 희망을 느껴봄.
김하경(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대학원생)
17가지의 암종을 단일세포 수준으로 모은 암 세포 지도
CSDA Lab. (김규태, 남동형, 류경희) 경상국립대학교 나노신소재공학부 세라믹공학전공 / 학부생, 학부생, 교수
복잡한 선들의 산발적 교차로 가시화된 ‘crumpled ZnO’의 TEM 이미지를 일이라는 틀에 갇혀 스트레스라는 관성에 익숙해진 워커홀릭에 비유. We have abstractly described a TEM image of crumpled ZnO as WORKAHOLIC.
김현문(차의과대학교/연구원)
항체 TUJ1을 마우스 망막에 주입하여 세포 발생을 유도하는 실험을 진행중에 세포들의 구성과 발생이 마치 앙리 마티스의 ‘춤’과 비슷하여 찍은 사진.
김하영, 조민구, 이지영, 이영수, 서진유(한국과학기술연구원 / 김하영 학생연구원, 외 4인 연구원)
이 영상은 연구팀이 초신성 폭발 초기 모습을 촬영하여 초신성을 일으킨 천체의 정체를 규명하는 연구 수행 중에 나선은하 NGC3147에서 나타난 1a형 초신성 SN 2021hpr의 모습을 모니터링하여 얻은 이미지들로 제작한 타임랩스 영상.
김현지(고려의대/석박통합 대학원생)
사람 배아줄기세포로부터 뇌오가노이드를 분화시켜 특정 단백질들을 면역조직염색하여 공초점 형광 현미경을 이용하여 이미징.
정한샘, 전창진(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공학부 생물학전공/학부생, 교수)
수소저장합금의 초기 수소 투과속도를 결정하는 산화막을 연구. APT를 이용하여 합금의 산화막을 관찰하였고 ‘Ivas’로 데이터를 추출하여, 그 단면을 ‘Origin’으로 철(Fe), 티타늄(Ti)의 산화막(Oxide)가 분리되는 것을 관찰한 모습. 영상제작은 window 무비 메이커를 사용.
IMSNG (임구, 임명신, 백승학)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천문학전공 / 대학원생, 교수
혀 뒷부분 미뢰 Circum vallate papillae를 confocal Zeiss LSM800으로 촬영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