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acebook
  • instagram
“일정수준 이상의 기술을 성취하고난 후에는
과학과 예술은 심미성, 유연성, 형식면에서
합쳐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가장 위대한 과학자는 예술가 이기도하다.”
- Albert Einstein
Scientist와 Artist의
뇌구조는 다를까?
“내 그림들은 연구이자 실험이다.
나는 예술작품으로서 그림을 그리지 않는다.
모두가 연구이다.
나는 끊임없이 탐색을 하며,
이 모든 연구에는 논리적인 순서가 존재한다.”
- Pablo Picasso
Scientist와 Artist의 뇌구조는 다를까?
Why Art In Science?
초·중등 영재들은 넘쳐나지만 정작 노벨상 수상자는 한 번도 배출하지 못한 나라 대한민국.
왜 우리나라는 뛰어난 어린 인재들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노벨상 수상자를 한 명도 배출하지 못하는 것일까요?
이런 문제는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와 관련 있는 것은 아닐까요?
과학과 기술은 우리 일상 생활에서 없어서는 안될 부분이지만 비전문가는 과학 연구에 접근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미학에 대한 인식은 보편적이죠. Art in Science는 예술의 힘을 사용하여 대중에게 과학이 아름답고 재미있을 수 있음을 전달하고자 합니다.
Art in Science는 일반인과 학생들이 과학자의 수많은 연구 뒤에 숨겨진 연구에 대한 설명과 함께 아름다운 연구 이미지를 소개하는 전시회를 개최함으로써, 예술과 과학을 융합해 일반인, 어린이를 위한 STEAM(과학, 기술, 공학, 예술 및 수학) 활동을 구성하여, 과학에 대한 자긍심, 동기부여가 가능하도록 컨퍼런스 프로그램을 기획했습니다.
Art director
이주행 박사
AI 스타트업 <페블러스> 대표, UST 교수, 작가
이주행 박사
Chairman of advisory committees
전창림 교수
현 홍익대 산업미술대학원 초빙교수​, <미술관에 간 화학자> 저자
전창림 교수
Chairman of advisory committees
이규호 박사
자문위원장/ 한국화학연구원 명예연구원/ 국제 순수 및 응용화학연맹(IUPAC) 집행위원
이규호 박사
이주행 박사
Art director
이주행 박사
AI 스타트업 <페블러스> 대표, UST 교수, 작가
전창림 교수
Chairman of advisory committees
전창림 교수
현 홍익대 산업미술대학원 초빙교수​, <미술관에 간 화학자> 저자
이규호 박사
Chairman of advisory committees
이규호 박사
자문위원장/ 한국화학연구원 명예연구원/ 국제 순수 및 응용화학연맹(IUPAC) 집행위원
Information
전시명
Art In Science #prelude
장소
UECO 울산전시컨벤션센터
기간
2021. 12. 10(금) ~ 12. 12(일) / 3일간 (‘2021울산국제아트페어’기간)
관람시간
11:00~19:00 (12. 12(일) 17:00 까지)
전시구성
멘토링컨퍼런스, NFT 온라인 및 오프라인 전시, 아트인사이언스 체험전
Conversations 2021
Art in Science #Prelude는 연구, 저서, 작품, 강연 등 과학과 예술을 바탕으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연사들이 다양한 주제로 강연을 진행 했습니다.
‘과학의 대중화’를 모토로 삼아, 과학과 예술에 관한 깊이 있는 인사이트를 더 가까이에서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하였습니다.
Lecture list

Science in Art
전창림 교수
현 홍익대 산업미술대학원 초빙교수, <미술관에 간 화학자> 저자
코드로 그린 그림
(Code Painting)
이주행 박사
AI 스타트업<페블러스>대표, UST 교수, 작가
발생학과 클림트<키스>
유임주 교수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교수, 대한해부학회 이사장
몸으로 듣는 음악
김민석 박사
(주)메딕바이오엔케이 대표이사, 한국원자력의학회 병리과장

물리학자의 삶과 예술가의 삶의 경계
이기진 교수
서강대학교 물리학과 교수,<우주 말고 파리로 간 물리학자> 외 다수 출간
과학자가 바라보는 미술의 세계
서민아 교수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책임연구원 및 고려대학교 교수, <미술관에 간 물리학자> 저자
뉴미디어 아트를 위한 공학적 사고
이병주 교수
연세대학교 컴퓨터과학과 교수, ACM CHI 부위원장(2019-2022)
그림 속에 숨은 천문학
김선지 작가
<그림 속 천문학> 저자, 한국일보 '김선지의 뜻밖의 미술사' 칼럼 연재
미술관에 간 의학자(명화로 읽은 의학이야기)
박광혁 교수
내과전문의, <60일간의 교양미술> 저외 다수 출간
Contact
FAX
+82-504-086-1696
Transportation
Express Bus
서울 -> 울산
대전 -> 울산
대구 -> 울산
광주 -> 울산
부산 -> 울산
배차간격 30~40분
배차간격 90~120분
배차간격 30분
배차간격 2시간
배차간격 15분
약 4시간 10분 소요
약 3시간 10분 소요
약 1시간 30분 소요
약 4시간 30분 소요
약 50분 소요
Bus
울산 고속/시외버스터미너 -> 울산역 하차
※ 울산KTX역에서 도보 5분
약 30분 소요
KTX
서울역 -> 울산역
광명역 -> 울산역
대전역 -> 울산역
동대구역 -> 울산역
부산역 -> 울산역
신경주역 -> 울산
하루 약 32편 운행
하루 약 25편 운행
하루 약 18편 운행
하루 약 32편 운행
하루 약 31편 운행
하루 약 13편 운행
약 2시간 20분 소요
약 2시간 소요
약 1시간 10분 소요
약 25분 소요
약 20분 소요
약 11분 소요
SRT
수서역 -> 울산역
대전역 -> 울산역
동대구역 -> 울산역
부산역 -> 울산역
신경주역 -> 울산역
하루 약 21편 운행
하루 약 12편 운행
하루 약 21편 운행
하루 약 32편 운행
하루 약 6편 운행
약 2시간 10분 소요
약 1시간 10분 소요
약 25분 소요
약 20분 소요
약 11분 소요
Airport
김포국제공항 -> 울산공항
약 1시간 30분 소요
Partners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주)인이지
  • 대한미토콘드리아연구의학회
  • 생화학분자생물학회
  • 한국정보과학회 인공지능소사이어티
  • 한국단백체학회
  • 한국세포밖소포체학회
  • 한국현미경학회
  • XAIC 설명가능 인공지능 연구센터
과학자들만이 향유할 수 있었던
아름다움과 경외로움을
대중과 함께 공유하겠습니다.